본문 바로가기

강제형변환

C# 프로그래밍-나눗셈의 형변환, 오류, 수정 numA / numB 가 3으로 출력되는 오류를 해결하기 위해서 어떻게 해야할까요? result 를 int형이 아닌 float형으로 하면 되겠지 라고 생각한다면 틀렸습니다. result 를 float형으로 바꿨다해도 result는 3.0 을 출력하게 될 것입니다. 나눗셈의 오류를 해결하는 방법 첫번째는 아래와 같습니다. float numA, numB, result; numA = 7; numB = 2; //자동형변환으로 인해서 numA = 7.0f, numB = 2.0f 로 초기화됨. result = numA / numB; print(result); 방법 두번째는 아래와 같습니다. (강제형변환) int numA, numB; float result; numA = 7; numB = 2; result = (fl.. 더보기
C# 프로그래밍-float, 자동형변환, 강제형변환 -형변환 (type change) 자동형변환=묵시적형변환=implicit type conversion 강제형변환 -실수형 값을 강제적으로 정수형 값으로 바꿈. 정수 a + 실수 b = 정수 c 형태인데 a+b가 실수형이라 정수형 c에 대입되지 않는 모습입니다! 출처 https://www.inflearn.com/course/%EC%9C%A0%EB%8B%88%ED%8B%B0-%EA%B2%8C%EC%9E%84%EA%B0%9C%EB%B0%9C-%ED%8C%8C%ED%8A%B81-2/dashboard [무료] 유니티를 위한 C# 기초 프로그래밍-구조지향(무료) - 인프런 | 강의 유니티를 위해서는 C# 프로그래밍이 필요합니다. 그리고 C# 프로그래밍은 객체지향과 구조지향의 프로그래밍으로 나뉩니다. 이 강의에서는 .. 더보기